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

덤프버전 : (♥ 0)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현대의 러시아 해군 군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SS)위스키급R, 줄루급R, 로미오급R, 줄리엣급R, 폭스트로트급R, 골프급R, 탱고급R, 킬로급, 라다급, (칼리나급)
SSN노벰버급R, 빅터급, 알파급R, 마이크급R, 시에라급, 아쿨라급, (하바로프스크급)
SSGN에코급R, 찰리급R, 파파급R, 오스카급, 야센급, 머큐리급, (허스키급)
SSBN호텔급R, 양키급R, 델타급, 타이푼급R, 보레이급
SSA팔투스급, 로샤릭급, 사로프급
경비정쥬크급CG/R, 스베틀야크급CG, 그라초노크급, 랩터급, 스텐카급, 몽구스급, 독스타바벳급, BK-16급, BK-18급, 쉬멜급
경비함바실리 비코프급, (이반 파파닌급)
초계함무하급R, 무라베이급R, 그리샤급, 나누추카급, 파르킴급, 타란툴급, 파우크급CG, 보라급, 부얀급, 부얀-M급, 카라쿠르트급, 게파르트급, 스테레구시급, 소브라지텔니급, 그리먀시급, (데르즈키급)
호위함페트야급, 크리박급CG,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프로젝트 22350M형)
구축함카신급R, 우달로이급, 소브레멘니급, 프로젝트 21956형, (리데르급)
순양함카라급R, 슬라바급, 키로프급
항공순양함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러시아 연방의 항공모함 계획)
상륙정무레나급R, 아이스트급R, 주브르급, 세르나급, 듀공급, 온다트라급
상륙함LPH미스트랄급, (이반 로고프급)
LSD이반 그렌급
LST이반 로고프급R, 앨리게이터급, 로푸카급
소해함나티아급, 소냐급, 고르야급, 리다급, 알렉산드리트급
위그선룬급R
정보수집함프로젝트 394B형R,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프로젝트 864형,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R, 우랄급R, 유리 이바노프급, 비시냐급
군수지원함벨랸카급, 삿코급, 루자급, 발라급, 다우가바급, 비테그랄레스급, 무나급, 유니 파티잔급, 암게마급, 프로젝트 323A/323B형
구난함/잠수함구조함프로젝트 23040형, 프로젝트 05360형, 엘브루스급, 카쉬탄급, 콤무나
잠수함지원함프로젝트 1886형R
해양연구함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프로젝트 22010형, (프로젝트 22011형)
수로탐사함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R
{{{-2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CG: 해안경비대도 운용 중인 함선 ※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취소된 함선
※ (괄호): 도입 예정 함선}}}








파일:Admiral Grigorovich.jpg
파일:Admiral Grigorovich.3.jpg
Фрегаты проекта 11356Р «Буревестник»

1. 개요
2. 제원
3. 상세
5. 동형함 목록
6. 대중매체에서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 또는 프로옉트 11356R/M 호위함(Проекта 11356Р/М Буревестник)'''은 러시아에서 개발한 호위함이다.

세부적인 설계는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의 파생형이자 탈와르급 호위함과의 일부 설계를 공유한다.


2. 제원[편집]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
Фрегаты проекта 11356Р «Буревестник»
기준배수량3,620톤
만재배수량4,000톤
길이124.8m
선폭15.2m
흘수선4.2m
동력방식COGAG
기관DT-59 부스트 가스 터빈[1] × 2
최대속력30노트
항속거리14노트 순항시 4,850nmi (8,980km)
레이더대공Fregat M2M
대함3Ts-25 Garpun-B (Plank Shave), MR-212 / 201-1 (Palm Frond).Nucleus-2 6000A
사격통제JSC 5P-10 Puma FCS.3R14N-11356 FCS, MR-90 Orekh SAM FCS
소나Vinyetka- MGK-335EM-03 음파 탐지기 시스템
무장함포100mm A-190 아스날 함포 1문
CIWSAK-630 × 2
대공Shtil-1 VLS 24셀
9M317M/ME × 24
이글라-S 또는 베르바 × 8
대함3P-14UKSK VLS 8셀
3M-54 클럽
P-800 오닉스
3M22 지르콘
브라모스[2]
대잠RBU-6000 대잠 로켓 × 1
533mm 2연장 어뢰발사관 × 2
탑재 항공기1 × Ka-27


3. 상세[편집]


탈와르급 호위함 건조 경험을 기반으로 러시아는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을 설계, 건조하게 되었으며 흑해 함대의 부족하고 노후화된 수상함정을 보완하기 위해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대신 비교적 저렴한 '탈와르급 호위함(Project 1136)'을 개량한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Project 11356M, Admiral Grigorovich)을 개발하였다.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은 3S-90 단장발사관 대신 수직 발사관을 채용하여 대공 방어 능력을 개선하였으며 2014년부터 2016년 사이에 6척을 흑해 함대에 배치할 계획이었다. 1번함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는 2016년 3월 10일 흑해 함대에 정식 취역했다.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2번함 '어드미럴 에센'의 지대함 미사일 요격 훈련

총 6척을 건조할 예정으로 1번함인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는 칼리닌그라드 얀타르 조선소에서 2010년 12월 18일에 건조를 시작했다. 2번함과 3번함은 2011년 7월 8일, 2012년 2월 29일에 기공하였으며 2013년에는 나머지 함정들이 기공되었다.

그러나 2014년 크림반도 사태 이후 우크라이나에서 엔진 공급을 거부하게 되면서 4번함 이후의 함정 건조에 난항을 겪게된다. 이에 인도에서 4,5번함을 구매하여 인도 해군에 판매하는 조건으로 엔진을 공급받고 건조를 다시 진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건조 중이던 6번함의 경우, 미완성의 상태로 해외 매각 등 처분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4.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편집]


2022년 4월 4일, 2번함 어드미럴 에센함이 오데사를 공격하던 중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을 받아 심각한 손상을 받았다고 우크라이나 측에서 주장하고 있다.# 4월 14일 모스크바급 순양함 모스크바가 격침되어 크리박급 2척과 함께 방공함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2번함 에센과 3번함 어드미럴 마카로프 2척 모두 전혀 피해를 입지 않았으며 이는 위성 사진과 함대 모항인 세바스토폴 입항으로 반복적으로 확인되었다.# 즉 우크라이나의 주장은 거짓말로 판명되었다.

10월 29일 우크라이나군이 무인자폭보트로 세바스토폴에 입항해 있던 함선들을 공격하면서, 무인자폭보트가 어드미럴 마카로프 함에 들이받아 파손시켰다.##


5. 동형함 목록[편집]


러시아 해군
함번함명기공일진수일취역일상태
1494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 (Адмирал Григорович)2010년 12월 18일2014년 3월 14일2016년 3월 11일현역
2490어드미럴 에센 (Адмирал Эссен)2011년 7월 8일2014년 11월 7일2016년 6월 7일
3499어드미럴 마카로프 (Адмирал Макаров)[파손]2012년 2월 29일2015년 9월 2일2017년 12월 27일수리 후 복귀
인도 해군
함번함명기공일진수일취역일상태
4-투쉴 (Tushil)[3]2013년 7월 13일2021년 10월 28일[4]2023년 12월 예정건조 중
5-타말라 (Tamala)[5]2013년 11월 15일2017년 11월 16일2024년 6월 예정
미정
함번함명기공일진수일취역일상태
6-어드미럴 코르닐로프 (Адмирал Корнилов)-2017년 11월 16일미정미정


6. 대중매체에서[편집]


파일:IMG_20220828_051043.jpg

모바일 게임 모던 워쉽에서 2티어 호위함으로 구매할 수 있다. 좋은 함체스펙과 대비되는 애매한 화력이 특징이다.


7. 관련 문서[편집]



[1] 22,000 shp (16,000 kW), 총 합계 60,900 shp (45,400 kW)[2] 인도 해군 사양에만 탑재[파손] 우크라이나군의 USV로 인해 파손[3] 구 어드미럴 부타코브(Адмирал Бутаков)함[4] 개장 후 재진수 기준, 기존 진수일은 2016년 3월 5일.[5] 구 어드미럴 이스토민(Адмирал Истомин)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21:49:53에 나무위키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